전기차 배터리 수출 절차 및 정책 대응 가이드
전기차 배터리 수출은 일반 중고차 수출과 달리 특별한 규정과 절차가 적용됩니다. 특히 정부의 배터리 유출 방지 정책과 보조금 환수 규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. 이 페이지에서는 관련 법규와 대응 전략을 안내해 드립니다.
📌 전기차 배터리 수출 시 유의할 정부 정책
- 의무운행 기간: 전기차 구매 후 8년간 국내 운행 의무 (2025년 기준 정책 추진 중)
-
보조금 환수 조건:
- 2년 내 말소 시: 전액 환수
- 2~8년 내 수출 시: 보조금의 20% 환수
- 배터리 수출은 환경부의 폐배터리 재활용 정책과 직결
- 위험물 운송 규정(UN 3480 등)에 따른 포장 및 운송 방식 준수
✅ 배터리 수출 절차 (위험물 운송 포함)
- 수출 대상 배터리 사전 진단 및 성능 확인
- 배터리 분류: 재사용 가능한 ESS용 vs 재활용 (파쇄·소재 회수)
- 위험물 분류: UN 3480 (배터리 단독), UN 3481 (장비 내 장착)
- 포장 및 라벨 부착: 국제 위험물 기준 (IMDG Code 등)
- 통관 서류 준비: MSDS, 성능 검사서, 포장 인증서
- 운송 방법: 해상 운송 (RORO, 컨테이너), 항공 운송 (소량 시)
🚩 대응 전략 및 대안
- 의무운행 기간 경과 차량 위주로 수출 전략 수립
- 국내 중고 전기차 시장 내 판매 우선 검토
- 정부 지원 프로그램 (수출 바우처, 무역보험 등) 적극 활용
- 배터리 재활용 기업과 연계한 ESS 재활용 방안 모색
환경부 전기차보조금/수출규정안내
KOTRA – 수출 바우처 프로그램
한국무역보험공사 – 무역보험 지원
중고 전기차 수출절차 토탈가이드
[ 위 버튼 누르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]